지역 건강통계를 조사하고 생산하여 각 지역별로 필요한 맞춤형 중심의 보건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(흡연, 음주 등) 및 이환, 의료이용 등을 조사하는 건강조사로 건강한 사회 구축을 위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회가 됩니다.
지역사회건강조사는 5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시되며 약 23만 명의 성인이 참여할 예정입니다.
「지역보건법」 제4조(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) 및 동법시행령 제2조 (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의 방법 및 내용)에 따라 질병관리청과 17개 시·도, 258개 보건소가 함께 수행하는 국가승인통계 조사입니다.
예방접종 및 검진: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및 진행여부
가구조사: 가구소득, 기초생활수급 여부, 세대유형 등
교육 및 경제활동: 학력, 경제활동 참여, 혼인상태 등
이환: 고혈압 진단 경험, 당뇨병 진단 경험 등
의료이용: 미충족 의료 경험, 미충족 의료 이유 등
사고 및 중독: 사고·중독 경험 및 건수, 사고·중독 원인 등
활동제한 및 삶의 질: 주관적 건강 수준, 행복감 지수, EQ-5D
개인위생: 화장실 다녀온 후, 식사 전, 외출 후 손 씻기 등
(부산, 경기, 전남, 경남지역 한정)
여성건강: 출산 경험률, 최초 출산연령, 최근 출산경험률(서울지역 한정)
건강행태: 흡연, 음주, 안전의식, 신체활동, 식생활, 비만 및 체중조절, 건강지식, 구강건강, 정신건강
심폐소생술: 심폐소생술 인지,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, 심폐소생술 실습 경험(마네팅, AED), 심폐소생술 시행능력 정도
이 조사는 건강행태, 만성질환 유병률, 정신건강 상태 등 다양한 건강 정보를 포함합니다.
2024년 12월에 공표되며, 내년 2월쯤에는 분석보고서인 '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'와 지역사회 건강통계'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조사 결과는 지역 건강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국민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됩니다. 질병관리청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건강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맞춤형 정책을 수립할 계획입니다.
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는 국민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다 나은 건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. 이 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.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건강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.
난임부부시술비 지원사업 (0) | 2024.05.25 |
---|---|
셀프 메디케이션 트렌드 (0) | 2024.05.24 |
의료급여 수급권자 및 건강생활유지비 지원 정책 (1) | 2024.05.23 |
오메가 3 심장 질환과 뇌졸증 부작용 (6) | 2024.05.23 |
초여름 건강음식의 종류 및 효과 (0) | 2024.05.19 |